분홍빛 전쟁터, 유방암(Breast Cancer) : 면역 요법, 표적 치료, 호르몬 요법
유방암 소개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암 관련 질병 및 사망 원인 중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유방암은 매년 230만 명 이상의 여성에게 진단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약 68만 5천 명이 사망합니다【WHO, 2021】. 유방암은 특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여성이 가장 많이 진단받는 암 중 하나로, 전체 여성암 발생의 약 24.5%를 차지합니다.
유방암 발생률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기대수명 증가, 도시화, 서구식 생활 습관 등의 요인으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의 위험 인자로는 호르몬 요인,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요인 등이 있습니다. 특히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과도한 음주, 호르몬 대체요법 등은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힙니다【Sung et al., 2021】.
이에 따라 조기 발견과 효과적인 관리 전략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유방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유방촬영술(맘모그래피)이 권장되며, 이는 유방암 사망률을 최대 20%까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Oeffinger et al., 2015】. 또한 가족력이 있거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여성(BRCA 변이 등)은 유전자 상담 및 검사를 통해 발병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하여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Paluch-Shimon et al., 2016】.
유방암의 치료 방법은 크게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표적 치료 등으로 나뉩니다. 최근에는 면역요법 및 표적 치료와 같은 혁신적인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어, 특히 진행성 유방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개인별 유전적 및 분자적 특성을 고려한 정밀 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정밀 의학은 차세대 시퀀싱(NGS)을 통해 각 환자의 종양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찾아내어 그에 맞는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접근법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BRCA 돌연변이, PIK3CA 돌연변이, HER2 과발현 등 유방암의 다양한 분자적 특징을 파악하여 적절한 표적 치료제 또는 면역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최신 연구 결과
면역 요법과 표적 치료
최근 면역요법과 표적 치료는 유방암 치료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면역 관문 억제제인 펨브롤리주맙은 화학요법과 병행할 경우 삼중 음성 유방암(TNBC)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 3상 연구에서 전체 생존 기간을 유의하게 연장시켰습니다【Cortes et al., 2020】. 삼중 음성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와 HER2 모두에 음성인 유형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고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어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중요성이 큽니다.
또한 PARP 억제제인 올라파립과 탈라조파립은 BRCA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올라파립은 임상 3상 연구에서 BRCA 돌연변이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무진행 생존 기간을 연장시켰으며【Robson et al., 2017】, 탈라조파립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PARP 억제제는 BRCA 돌연변이와 같은 특정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삼아 암세포의 DNA 복구 능력을 저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암을 억제합니다.
정밀 의학 접근법
정밀 의학 접근법은 유방암 치료에서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차세대 시퀀싱(NGS)은 각 환자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여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PIK3CA 돌연변이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약 40%에서 발견되며, 이 돌연변이에 특이적인 PI3K 억제제인 알펠리십은 호르몬 요법제인 풀베스트란트와 병행할 경우 상당한 효능을 보입니다【André et al., 2019】.
또한 ESR1 돌연변이는 아로마타제 억제제에 대한 내성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새로운 호르몬 요법인 엘라세스트란트와 같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SERD)가 효과적입니다【Bardia et al., 2021】.
호르몬 요법의 발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의 약 70%를 차지하며, 특히 폐경 후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견됩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호르몬 요법은 주요 치료 옵션 중 하나이며, 아로마타제 억제제, 타목시펜, 풀베스트란트 등이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최근 개발된 엘라세스트란트는 기존 호르몬 요법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들에게서도 효과적이어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Bardia et al., 2021】.
또한 CDK4/6 억제제인 팔보시클립, 리보시클립, 아베마시클립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HER2 음성 유방암에서 호르몬 요법과 병행할 경우 무진행 생존 기간을 연장시켜 치료 성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Finn et al., 2015】【Hortobagyi et al., 2016】.
액상 생검
액상 생검은 순환 종양 DNA(ctDNA) 및 순환 종양 세포(CTC)를 탐지해 비침습적인 진단 및 모니터링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액상 생검을 통해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종양 관련 돌연변이를 탐지할 수 있어, 조기 발견, 예후 평가 및 치료 모니터링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Wan et al., 2017】.
특히 HER2 양성 유방암 및 BRCA 돌연변이와 같은 특정 유형의 유방암에서 치료 경과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서 혈중 HER2 증폭을 확인하여 치료 효과를 예측하거나, BRCA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ctDNA를 모니터링함으로써 PARP 억제제에 대한 내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